베트남에서 음력 8월 15일은 “테트 쭝 투(Tết Trung Thu)”, 즉 중추절로 불린다. ‘가을 한가운데의 명절’이라는 뜻을 지닌 중추절은 한국의 추석, 중국의 중추절과 비슷한 시기와 의미를 공유하지만, 베트남만의 독특한 문화와 전통이 녹아 있다. 이 명절은 원래 농경 민속에 뿌리를 둔 수확 감사제였지만, 현대에는 특히 아이들을 위한 명절, 가족이 함께하는 날로 자리 잡았다.
이 명절에는 보름달을 감상하며, 전통적인 등불 퍼레이드, 사자춤, 달맞이 의식 등이 이어지고, 그 중심에는 늘 풍성한 음식과 간식이 놓여 있다. 달은 완전함과 순환, 가족의 화합을 상징하며, 식탁 위 음식들 역시 자연의 풍요로움과 정성, 사랑의 상징으로 기능한다.
중추절의 음식은 단지 배를 채우는 수단이 아니라, 문화적 상징이자 감정의 표현, 세대 간 정체성의 연결 고리로 작용한다. 이 글에서는 베트남 중추절의 대표 음식들과 그에 담긴 의미를 중심으로, 음식과 문화, 신앙과 가족이 어우러진 명절의 깊이를 4단락에 걸쳐 살펴본다.
베트남 중추절의 역사와 음식 문화의 배경
베트남의 중추절은 중국에서 기원한 중추절의 영향을 받았지만, 오랜 세월 독자적인 문화로 자리잡으며 고유한 색채를 지닌 명절로 발전했다. 특히 아이들을 위한 축제라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이는 부모가 아이들에게 바치는 사랑의 표현, 가족 유대의 강화라는 베트남 사회의 가치관과 맞닿아 있다. 중추절 전후로는 어린이들이 등불을 들고 거리 퍼레이드에 참여하고, 학교나 마을에서 각종 공연과 게임을 즐기며 축제를 만끽한다.
하지만 그 모든 즐거움은 음식과 간식을 중심으로 완성된다. 베트남에서 중추절 음식은 가족과 조상을 위한 제사 음식이자, 아이들에게 주는 정성과 선물, 그리고 이웃과 나누는 축복의 매개체로 여겨진다.
중추절을 맞아 각 가정은 “맘 코 트엉(Mâm cỗ Trung Thu)”라 불리는 상차림을 준비한다. 이 상은 보름달이 잘 보이는 마당이나 창가에 차려지며, 달에게 제를 올리는 의미와 조상에 대한 공경, 가족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 상차림에는 과일, 전통 과자, 떡, 차, 일부 지역에서는 닭고기나 간단한 찜 요리도 포함되며, 특히 달 모양을 닮은 원형 음식이 많이 사용된다.
이처럼 베트남의 중추절 음식은 단순한 명절 음식이 아니라, 우주의 조화와 가족의 화합, 자연의 순환과 인간의 기원이 조화를 이루는 상징적 실천이다. 그 중에서도 문케이크(Bánh Trung Thu)는 명절을 대표하는 상징적 음식으로, 그 안에 사랑, 전통, 기원이 깊게 새겨져 있다.
반쯩투(Bánh Trung Thu): 문케이크에 담긴 상징성과 종류
반쯩투(Bánh Trung Thu), 즉 베트남식 문케이크는 중추절의 가장 핵심적인 음식이다. 이 케이크는 달 모양을 본떠 만든 둥근 형태의 전통 과자로, 달의 완전함처럼 가족의 단란함과 평화를 상징한다. 베트남에서는 이 문케이크를 조상 제사에 올리거나, 가족끼리 나누고, 친척이나 직장 동료에게 선물하는 관습이 있다.
문케이크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 반 느엉(Bánh Nướng) – ‘구운 문케이크’
- 반 자이(Bánh Dẻo) – ‘찹쌀로 만든 문케이크’
반 느엉은 밀가루 반죽을 얇게 펴서 다양한 속재료를 넣고 구운 형태로, 짭짤하면서도 달콤한 맛이 특징이다. 속에는 달걀 노른자(보름달의 상징), 콩, 멸치, 견과류, 돼지고기, 닭고기, 해산물 등 지역과 가정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재료가 들어간다. 복잡하고 풍성한 맛의 조화는 삶의 다채로움과 자연의 풍요를 상징한다.
반면 반 자이는 찹쌀가루로 만든 반죽에 팥소, 연근잼, 코코넛, 두리안 등을 넣고 눌러 성형하는 방식으로 만들며, 보통 차갑게 보관해 먹는다. 흰색의 순수한 외형은 정결함과 영적 깨달음, 달빛의 청명함을 의미하며, 이 때문에 불교 사원에서도 중추절에 공양 음식으로 많이 사용된다.
두 문케이크 모두 외부에 복(福), 수(壽), 연화(蓮花) 등의 상형 문양을 새겨 장식하며, 이는 단순한 미적 요소를 넘어서 행운과 장수, 번영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문케이크는 다양한 퓨전 형태로도 발전 중이다. 초콜릿, 치즈, 커스터드 크림, 녹차, 커피 맛 등 서양식 재료와 결합한 모던 문케이크도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는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젊은 세대와의 접점을 넓히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베트남인들은 중추절이 되면 여전히 어머니가 손수 만든 반 느엉의 달달한 향과 따뜻한 색감에서 가족의 온기와 명절의 정서를 되새긴다. 문케이크는 단순한 간식이 아니라, 세대 간 유산이고, 감정을 나누는 매개체인 셈이다.
중추절의 부가 음식과 지역별 특색 요리
문케이크 외에도 베트남 중추절에는 다양한 전통 간식과 과일, 음료가 함께 준비된다. 특히 ‘맘 코 트엉’에는 오색 과일(망고, 바나나, 드래곤프루트, 자두, 파인애플 등)이 예쁘게 조각되어 달 모양이나 동물 형태로 장식된다. 과일의 색과 모양은 달을 기리는 동시에, 자녀의 건강과 명철함, 가족의 화합을 상징한다.
또한 중추절에는 녹두 케이크, 쫀득한 찹쌀떡, 허브차, 연꽃잎 차(Trà Sen) 등이 함께 제공되며, 이는 소화와 건강을 돕고 정신을 맑게 하는 요소로 여겨진다. 특히 연꽃은 베트남에서 불교적 상징과 정결함의 대표로, 중추절 상차림에서 매우 중요한 재료다.
지역별로도 독특한 음식 문화가 있다.
- 북부 베트남(하노이)에서는 문케이크 외에 녹두죽(Chè đậu xanh), 연근조림, 밤조림 등 부드러운 질감의 전통 간식이 중추절 식탁에 올라간다.
- 중부 지역(후에, 다낭)에서는 찹쌀떡 속에 코코넛과 참깨를 넣은 달 모양 떡이 유명하며, 달에게 제를 올릴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남부 지역(호찌민시)에서는 문케이크 외에도 시원한 젤리 디저트, 아이스 음료, 열대과일 샐러드 등이 함께 제공되며, 더운 기후에 맞춘 음식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추절은 아이들을 위한 날이라는 점에서 아이 전용 상차림이 따로 준비되기도 한다. 작고 귀여운 동물 모양의 떡이나 과자를 손수 만들고, 아이에게 등불과 함께 선물하며 사랑을 전달하는 정서적 행위가 자리 잡고 있다. 이 모든 음식은 단지 배를 채우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유대를 강화하고, 세대 간 정체성을 공유하는 살아 있는 문화 실천이다.
베트남의 중추절 음식은 단순한 명절 요리를 넘어, 가족의 정, 자연의 순환, 문화의 전통, 신앙의 실천이 담긴 복합적이고 상징적인 식문화다. 대표 음식인 반쯩투(문케이크)는 달의 완전함과 가족의 단란함을 형상화한 결과물이며, 각종 전통 과일과 간식은 베트남인의 정성과 영성, 공동체의 따뜻함을 담고 있다. 중추절 식탁은 그래서, 눈에 보이는 음식보다 더 깊은 의미를 가진다.